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5

UTM 방화벽이란?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트래픽 개념 한눈에 정리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방화벽(Firewall)’이라는 말을 종종 듣게 됩니다. 마치 디지털 보안의 수문장처럼 들리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트래픽은 무슨 의미인지 헷갈릴 수 있죠.이 글에서는 방화벽의 기초 개념부터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트래픽이 무엇인지까지, IT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방화벽이란?방화벽(Firewall)은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감시하며, 허용된 트래픽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보안 장치입니다.쉽게 말해, 우리 집 현관문처럼 누가 들어오고 나가는지 통제하는 역할을 하죠.✅ 목적: 외부의 해킹 시도, 악성 코드, 무단 접근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것.방화벽은 물리적인 장비일 수도 있고, .. 2025. 4. 6.
Nginx에서 HTTPS 설정할 때 꼭 알아야 할 포트 443의 의미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이런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됩니다."HTTPS 설정하려면 Nginx에서 listen 443 ssl; 꼭 넣어야 해요."그런데 궁금하지 않으셨나요?도대체 왜 443 포트를 사용해야 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웹 동작 방식과 함께 그 이유를 예시 도메인인 upself.tistory.com과 upself2.tistory.com을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할까?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음과 같이 접속한다고 가정해볼게요:https://upself2.tistory.com브라우저는 먼저 DNS를 통해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합니다.그 다음 해당 IP의 443번 포트로 HTTPS 요청을 보냅니다.Nginx가 listen 443 ssl;로 이 요청을 받아야 접속이 됩니다.💡 .. 2025. 4. 4.
listen 443 없이도 HTTPS 접속이 되는 이유, 구조적으로 살펴보기 최근에 새 서버를 세팅하면서 흥미로운 차이를 발견했어요.Nginx 설정에 listen 443 ssl;이 없는데도 브라우저에서 https 접속이 잘 되는 기존 서버!도대체 왜 그럴까요?이번 글에서는 FileMaker Server 설치 방식과 SSL 인증서 적용 방식에 따라Nginx에서 SSL을 처리하지 않아도 HTTPS가 되는 원리를 설명해볼게요.☑️ 기존 서버 vs 신규 서버 비교항목기존 서버(upself.tistory.com)신규 서버(upself2.tistory.com)🔐 인증서 발급 방식Admin Console에서 ImportUse the FileMaker-generated request🌐 Nginx SSL 처리listen 8080;만 사용 (SSL 미처리)listen 443 ssl;로 SSL .. 2025. 4. 3.
Ch04-02. Moderation API로 민감한 대화 차단하기 Moderation API를 활용한 민감한 대화 차단 방법AI 챗봇이 민감한 내용을 생성하거나 유해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법적 문제, 브랜드 이미지 실추,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Moderation API를 활용하면 욕설, 폭력, 차별적 표현, 유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차단할 수 있다.1️⃣ 민감한 콘텐츠 차단이 필요한 이유AI 챗봇이 생성한 답변이 논란을 일으킨 대표적인 사례로 이루다 챗봇 논란이 있다. 출시 초기 높은 인기를 끌었지만, 사용자와의 대화에서 동성애, 장애인 차별, 성희롱, 개인정보 노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서비스가 중단되었다.이처럼 AI 챗봇이 부적절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AI가 훈련 데이터에.. 2025. 3. 30.